31일(현지 시각)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사업 운영자들에게 저장 용량의 최대 30%를 수입 이산화탄소에 할당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해외 저장 탄소에 대한 수수료를 징수하여 자국의 기후목표 달성에 활용할 예정이다.
석탄 수출국 인도네시아, CCS 사업에 속도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 인도네시아가 CCS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통령령(presidential regulation)으로 자국 탄소저장업체가 외국업체와 계약하여 이산화탄소를 수입하고 저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새로운 규정에 따라 31일(현지 시각)부터 인도네시아 CCS 사업자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수입산 이산화탄소에 총 저장공간의 최대 30%를 할당할 수 있게 됐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이번 규정은 석유 및 가스 계약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해당하는 업체는 고갈된 석유 및 가스전이나 대수층(aquifers)을 CCS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대수층은 지하수가 존재하는 지층으로 대수층 상부에는 덮개로 활용할 수 있는 바위가 있어서 가스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를 통해 약 400기가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번 규정을 통해 외국업체의 탄소 배출 저감을 지원하고, 저장 수수료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여 자국의 기후 대응 노력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탄소 저장을 원하는 외국업체에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했다. 자국에 투자했을 것, 투자한 회사와 관련이 있을 것,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자 하는 국가와 양자 간 협상을 체결할 것 등이다.
이미 해외 기업들은 인도네시아와 손잡고 CCS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2023년 11월 글로벌 석유회사 BP는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인도네시아 최초의 CCS 건설을 시작했다.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는 BP가 이번 프로젝트에 26억달러(약 3조4616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석유 공기업 페르타미나(Pertamina)도 미국의 양대 석유메이저 엑손모빌 및 셰브론과 함께 인도네시아 내 CCS 프로젝트 투자 논의를 진행 중에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진행 중인 CCS,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프로젝트는 15개로, 그 규모는 약 80억달러(약 10조6512억원)에 이른다.
한국석유공사, 인도네시아 공기업과 CCS 사업 추진
우리나라도 인도네시아에 CCS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 1월 10일 한국석유공사가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와 인도네시아 유전 및 가스전의 CCS 전환 실증사업 추진을 위한 공동조사협약(JSA, Joint study agreement)을 체결했다.
석유공사는 2023년 9월 윤석열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국빈 방문 시 페르타미나와 CCS 공동연구와 석유개발 및 저탄소 사업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후 진행된 세부 논의가 이번 JSA로 이어지게 됐다.
이번 JSA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자바섬 북서쪽 해상에 있는 복수의 유전과 가스전에 CCS 사업을 적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데 있다. 우리 정부는 JSA 결과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의 생산 종료된 유전, 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재활용하는 CCS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석유공사 김동섭 사장은 “석유공사가 보유한 기술 역량을 극대화하고 폭넓은 CCS 실증 경험을 쌓음으로써 아시아 전략지역에서 CCS 사업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이라며 “성공적인 CCS 사업 추진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석유공사가 추진 중인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4년 제1차 재정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동해가스전 CCS 사업을 통해 2030년부터 연간 1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한-인니, 배터리 공급망 협력 지속 확대키로
- 온실가스 국제 감축사업 리스크 낮추는 두 가지 요건
- 인니, 동남아 최대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가동했다
- BP의 CEO, 두마리 토끼 잡자...에너지 전환 & 화석연료 동시 투자 주장
- 인도네시아, 탄소시장 운영 방법에 관한 규정 발표
- CCS 프로젝트 민간 투자 확대를 위한 방안은?…딜로이트 보고서
- EU집행위, CCUS 활용한 산업계 탄소중립 추진… 의회는 탄소상쇄 근거한 그린워싱 방지 법안 승인
- 카브픽스, 세계 최초 해수를 용매로 이용해 이산화탄소 저장에 성공
- 에퀴노르, 해양 직접 탄소 제거 플랜트 건설 추진
- 독일, 지열 에너지 확대 및 CCS 추진한다
- 유럽 전역의 탄소 저장 프로젝트, 어디에 있나?
- 영국, CCS 프로젝트에 수백억 투자 계획 발표
- EU CCUS 프로젝트와 지원금 어디에...인터랙티브 현황 지도 출시
- 엑슨모빌과 셸, 싱가포르 CCS 민관협력 프로젝트 추진
- 세계 최초, 에탄올 생산시설로 자발적 탄소시장 진입한 '레드 트레일 에너지'
- 셰브론, 일본 JX석유개발과 아태지역 CCS 가치사슬 공동 개발
- 세계 최대 연안시추 정유사 SLB, 노르웨이 탄소포집기업 ACC 최대지분 인수
- 텐센트, CCUS 스타트업 육성에 박차… 중국, 전기차 이어 CCUS 산업도 장악하나
- 석탄 발전 의존도에서 중국을 추월한 나라는?
- 인니 법원, 세계 최대 탄소 상쇄 프로젝트 허가....정부 결정 뒤집어
- 미국, 다국적 중요 광물 파트너십 위해 인도네시아에 접근
- 인도네시아 니켈 공급망 ESG 리스크 격화…전기차 산업의 어두운 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