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가 22일(현지시각)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과 실사지침(CSDDD)을 간소화하는 ‘옴니버스 I’ 협상위임안을 부결했다. 최종 수정안은 11월 본회의에서 재표결될 예정이다.
유럽의회, CSRD·CSDDD 완화안 부결…11월 본회의서 재표결 예정
표결 결과는 찬성 309표, 반대 318표, 기권 34표로 간소화안을 추진하던 법사위원회(JURI)의 협상위임안이 효력을 잃었다. 이번 결과로 기업 보고 의무와 실사 범위를 축소하려던 법 개정 절차는 일단 중단됐다.
법사위가 제시한 완화안은 중대형 기업만 보고 의무를 지도록 범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 골자였다. CSRD의 적용 대상을 ‘임직원 1000명 이상·연매출 4억5000만유로(약 7511억원) 이상’으로 제한하고, CSDDD는 ‘임직원 5000명 이상·연매출 15억유로(약 2조5000억원) 이상’ 기업에만 적용하도록 제안했다.
관련기사
- EU 기업 70%, 규제 완화 반대…“지속가능성 의무가 경쟁력”
- EU, CSRD·CSDDD 수정안 800건 쏟아져…법사위, 물밑 협상 착수
- EU 이사회, ESG 공시·실사 규정 간소화 입장 채택
- 독일, EU 공급망 실사법 폐기 입장 철회…규제 간소화로 선회
-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CSDDD 단순 유예 아닌 폐기해야”
- 옴니버스 패키지, 3대 규제 변경안 핵심은?...삼일PwC 보고서
-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대폭 완화 추진
- 미국과 EU의 ESG 갈등 표면화...CSDDD 개정 표결 앞두고 ‘정치 이슈’로
- 카타르에너지·엑슨모빌 “EU 기후법 완화 없으면 유럽 시장 철수도 고려”
- ECB, 기후리스크 반영했지만 신용평가 영향 제한적…"데이터 격차가 최대 과제"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