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태양광, 풍력발전을 주제로 챗GPT가 만든 이미지.
 트럼프 행정부, 태양광, 풍력발전을 주제로 챗GPT가 만든 이미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덴마크 해상풍력 기업 오스테드(Orsted)의 로드아일랜드 인근 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 ‘레볼루션 윈드(Revolution Wind)’ 공사를 전격 중단시켰다.

로이터는 22일(현지시각), 공정률 80%에 달한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미국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이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오스테드 직격탄, 긴급 증자에도 차질 불가피

BOEM은 공문에서 미국의 배타적 경제수역과 영해의 합리적 사용을 보장하고 타 용도의 간섭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명령으로 오스테드는 이미 설치한 65기 중 45기의 풍력 터빈을 가동할 수 없게 됐다. 프로젝트 완공 시 로드아일랜드와 코네티컷 3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매출 발생은 사실상 무기한 연기됐다.

오스테드는 현재 94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긴급 유상증자를 추진 중이지만, 이번 사태로 계획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회사는 성명에서 법적 대응을 포함해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며, 향후 증자 계획에 미칠 영향을 시장에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올 들어 두 번째로 내린 대형 해상풍력 중단 명령이다. 지난 4월에는 에퀴노르의 뉴욕 인근 프로젝트를 전격 중단시켰다가 한 달 뒤 철회한 바 있다. 전미해양에너지산업협회(NOIA)는 완공 단계에 있는 사업까지 중단시키는 것은 일자리와 투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관세·세제 혜택 종료 겹쳐 전력망 불안 고조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신규 해상풍력 임대를 전면 중단시켰으며, 최근에는 태양광·풍력 프로젝트 불허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CNBC에 따르면 그는 풍력과 태양광이 환경과 경제에 부정적이라며 행정부 차원의 전면 불허를 천명했고, 미 내무부는 모든 허가권을 직접 관리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기업 아레본(Arevon)의 케빈 스미스 CEO는 재생에너지가 막히면 전력망 확충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중소 제조업체와 가계가 전기요금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반투스(Avantus)와 엔지(Engie) 북미법인도 정책 불확실성과 비용 급등으로 인해 투자 축소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실제 엔지는 미국 내 신규 투자를 50% 줄이기로 결정했다.

여기에 금속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업계 전반의 원가 구조가 흔들리고 있다. 설비 원가는 최대 30% 상승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 법안’에 따라 2027년 말 세제 혜택이 종료되면 발전단가는 현재 MWh당 60달러(약 8만원)에서 100달러(약 14만원) 수준으로 치솟을 전망이다.

AI 데이터센터 건립 붐으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증설이 막히면 전력 공급난과 요금 폭등은 불가피하다. 스미스 CEO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신규 수요를 감당할 전력원은 재생에너지뿐이라며, 공급 공백이 이어지면 미국의 AI 경쟁력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치 여파로 오스테드 주가는 즉각 17% 급락했다. 투자자 신뢰가 흔들리면서 향후 증자 추진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로이터는 공사가 중단되면서 오스테드가 당장 매출을 낼 수 없게 됐고, 94억달러(약 13조원) 규모 긴급 유상증자 추진에도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