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0조엔(약 877조원) 규모의 일본의 공적 연금 기금이 PRI에 서명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은 이후 ESG 투자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전 세계적의 자산 관리자와 연금 기금을 포함한 5300개 이상의 기관이 PRI에 가입하는 동안 일본의 연금 기금은 가입을 서두르지 않았다.
그러던 지난 5월 22일 모건스탠리가 주최한 글로벌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일본의 기시다 총리는 일본정부연금투자기금(GPIF)와 공제조합 등 약 300조엔(약 2629조원)을 감독하는 9개 공공자산 소유주의 자산관리 개선에 대한 계획이 곧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기금들의 PRI 가입 조치는 일본의 자산 관리 부문을 강화하겠다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목표를 향한 또 다른 조치로 여겨진다.
일본은 올해 6월 이후 경찰 및 공립학교 연금 기금, 국민연금기금협회를 포함한 총 6개의 기금이 PRI의 성명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국민연금기금협회는 약 4조6000억엔(약 40조원)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일본의 최대 연금 기금이자 자산이 237조엔(약 2000조원)인 일본정부연기금은 지난 2015년 UN이 지원하는 책임투자원칙주도기구, PRI에 가입한 바 있다. 그 이후로 수동적으로 지수 기반 매수를 통해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자산의 보유를 늘려왔다.
그러던 올해 비트코인 채택을 검토하는 등 투자 다각화를 노리며 포트폴리오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공적 연기금의 PRI 가입, ESG 투자 시발점 될 것으로 전망
PRI의 일본 책임자인 미치요 모리사와(Michiyo Morisawa)는 지난 2021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일본의 기금은 자산에 대한 투자 관리 권한을 신탁 은행과 펀드 매니저에게 위임하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은 업계에 긍정적인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이 중요하다”라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이같은 공적 기금의 ESG 투자는 일본의 전국공무원공제회연합회(KKR), 지방공무원연금기금회(the Pension Fund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그리고 일본 사립학교진흥공제회(Mutual Aid Corporation for Private Schools of Japan)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전국공무원공제회연합회는 약 10조엔(약 88조원)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으며, 후자의 두 기금은 각각 약 30조엔(약 264조원)과 5조엔(약 44조원)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경영자들은 일본 주식, 외국 주식, 국내 채권 및 외국 채권에 대해 각각 25%의 기본 자산 배분 계획을 따르고 있다. 주기적인 재조정을 통해 이러한 가중치가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타 공적 연기금들은 다른 정부 기관과 외부 정부로부터 인력을 들여오지만, 투자 운용에 대한 명확한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일본 에너지 기업 인펙스, 호주 재생에너지 2조원 투입…녹색수소 거점 만든다
- 일본, CCS 9개 사업 지원…말레이시아 3개 포함
- 일본 메가뱅크 3곳, 이사회 구성원 역량 요구 기후 관련 주주제안에 직면
- 일본, 수소 공급망을 위한 10억 달러 펀드 출시
- 일본의 스미토모 그룹, 캐나다에서 CCS 프로젝트 공동개발
- 일본 최대 전력회사 제라, 실시간 재생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일본의회, 탄소 포집 법안 통과...수소산업 장려법률도 통과
- 일본, 친환경 전환 인재상 제시…GX 스킬표준 4가지 레벨 정의
- 일본, FIT 기간 종료에 따른 태양광 폐기 방지 대책은?…지방은행이 나선다
- 일본, '분리막' 활용한 새로운 탄소포집 기술 개척 중
- 국민연금 책임투자, 글로벌 7대 연기금 중 하위권…행동주의 펀드 위탁과 기재부 평가 개선 요구
- 일본 GPIF, FTSE ESG 지수 투자 전년 대비 1.5배
- 일본ㆍ호주ㆍ아세안, AZEC 협의체서 탄소 감축 위한 액션플랜 마련…한국은?
- 사모펀드, 지속가능성 영향력 확대...BCG 설문조사
- 국민연금 기후 스튜어드십, 실천 부족 지적…성과 공개·KPI 개편 요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