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규제 당국이 해상풍력 개발업체들의 120억달러(약 16조원) 규모의 요금 인상안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뉴욕 공공서비스위원회(Public Service Commission, PSC)는 11일(현지시각) 개발업체들이 기존의 전력 공급 계약을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개발업체, 수익성 문제로 기존 계약 조건 조정 요구…
규제당국 거부에 관련 기업들 주가 하락
뉴욕주가 해상풍력 개발업체들의 기존 계약 재협상 청원을 거부했다. 오스테드(Orsted), 에퀴노르(Equinor), BP 등 재생에너지 개발업체들은 인플레이션, 공급망 문제로 인한 예기지 못한 비용 상승으로 기존 가격으로는 프로젝트 진행이 어렵다며 기존에 수주한 요금제를 조정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이번 결정에 따라 개발업체들은 현재 계약 조건을 고수하거나 계약을 취소, 해지 위약금을 지불하고 향후 프로젝트를 재입찰해야 할 수도 있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외신은 2030년까지 전력의 70%를 청정에너지로 공급하겠다는 뉴욕주의 기후 목표 달성이 불투명해졌다고 분석했다.
위원회는 경쟁 과정 없이 개발업체에 막대한 가격 인상을 허용하는 것은 뉴욕주의 규제 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개발업체들이 추가적으로 요구한 금액은 약 120억달러(약 16조원) 규모다.
미국 청정전력협회(ACP) 최고경영자 제이슨 그루멧(Jason Grumet)은 성명을 통해 “위원회의 근시안적 결정이 뉴욕의 환경과 청정에너지의 미래를 위험에 빠뜨렸다”,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인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항만 활성화, 새로운 제조 시절 확보 등 경제적 효과도 누리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11일 오스테드 주가는 약 3%, 에버소스 주가는 7.5% 하락했다. 양사는 합작회사를 설립, 뉴욕주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오스테드는 지난 8월 공급망 문제, 금리 인상, 세금 혜택 부족 등으로 미국에서 약 최대 160억크로네(약 3조1040억원) 손실을 볼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해상풍력 목표 달성 위해서는 공급망 투자가 필수...
대규모 항만 시설, 터빈 설치 위한 대형 선박 등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좌초 위기는 매사추세츠주에서도 발생했다. 지난 7월 아방그리드(Avangrid)는 매사추세츠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단을 위해 4800만달러(약 647억원)의 위약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셸(Shell)과 오션 윈드(Ocean Winds)의 합작회사인 사우스 코스트 윈드(South Coast Wind) 또한 예상치 못한 비용 증가를 이유로 매사추세츠주와의 전력구매계약(PPA)을 종료했다. 사우스 코스트 윈드는 해당 PPA에 대한 재입찰을 추진할 계획이다.
비영리단체 해상풍력 비즈니스 네트워크(Business Network for Offshore Wind)는 최신 보고서에서 “개발업체, 전력공급업체, 규제 당국 간의 반복되는 계약 협상 과정이 프로젝트의 지연과 공급망 붕괴를 야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는 '미국 해상풍력 에너지 공급망 로드맵(A Supply Chain Road Map for Offshore Wind Energy in the United States)' 보고서에서 현재 진행 중인 미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 절반이 공급망 위기로 지연 위기에 처해 있다고 분석했다. 원자재 수급을 위한 지리적 다각화 부족, 전쟁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 가격 변동성, 높은 운송료 등이 이유다.
보고서는 미국의 해상풍력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항만 인프라 확장, 풍력 터빈 설치를 위한 대형 선박 및 제조시설 등에 220억달러(약 29조원)를 투자해 연간 4~6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국내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미국은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 용량을 현재 40MW에서 30GW로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해상풍력 비즈니스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 샘 살루스트로(Sam Salustro)는 로이터 주최 세미나에서 “해상풍력 산업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에도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국내 공급망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렙솔, 미국 육상풍력시장 진출..흔들린 해상풍력, 육상풍력은 괜찮을까
- 오스테드, 미국 해상 풍력 프로젝트 지연으로 3조1040억원 손실 예상
- 미 에너지부, 풍력과 태양광 원자재 추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 바텐폴 해상풍력 건설 중단 이유?...풍력발전 공급망 투자 관건, 2026년까지 133조원 필요
- 뉴욕주, 난항하던 해상풍력 프로젝트 계약...EU는 풍력산업패키지 출시
- BP, 에퀴노르 역대급 손실에도...미, 신규 해상풍력 추가 승인
- 美, 멕시코만에 새로운 풍력 에너지 지역(WEA) 확정
- 오스테드, 비용상승으로 노르웨이 해상풍력 사업 중단...6년만의 최저 주가
- UAE, 약 40조원 규모 기후 펀드 발표… 블랙록 등 파트너사로 참여
- 덴마크 해상 풍력 기업 커델러, 아시아 진출 계획..한국,대만, 일본이 목표
- 에퀴노르와 BP, 뉴욕의 해상풍력 계약 취소
- BP, 바이오연료 생산 위해 정유공장 개조....다른 기업도 뛰어들어
- 캐나다 에너지사 엔브리지, "해상풍력투자 프랑스에 주목, but 미국은 외면"
- 오스테드 배당 및 투자 축소 압박 받아... 아태지역 진출로 반등할까
